스프링MVC1_1

3 minute read

웹 서버(Web Server)

  • HTTP 기반으로 동작
  • 정적 리소스 제공, 기타 부가기능
  • 정적(파일) HTML, CSS, JS, 이미지, 영상
  • 예) nginx, apache


웹 애플리케이션 서버(WAS - Web Application Server)

  • HTTP 기반으로 동작
  • 웹 서버 기능 포함
  •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해서 애플리케이션 로직 수행
    • 동적 HTML, HTTP API(JSON)
    • 서블릿, JSP, 스프링 MVC
  • 예) 톰캣(Tomcat), Jetty, Undertow


Web Server 와 WAS의 차이

  • Web Server는 정적 리소스(파일)를 제공하고, WAS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수행함
  • 사실 용어나 경계가 모호함
    • Web Server도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포함하기도 함
    • WAS도 Web Server의 기능을 제공함
  • 자바는 서블릿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하면 WAS
    • 서블릿 없이 자바 코드를 실행하는 서버 프레임워크도 있음
  • WAS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하는데 더 특화되어 있음


웹 시스템 구성 - WAS, DB

  • WAS, DB만으로 시스템 구성 가능
  • WAS는 정적 리소스, 애플리케이션 로직 모두 제공 가능
  • 가장 비싼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정적 리소스 때문에 수행이 어려울 수 있음
  • WAS 장애시 오류 화면 노출도 불가능


웹 시스템 구성 - WEB, WAS, DB

  • 정적 리소스는 웹 서버가 처리
  • 웹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로직같은 동적인 처리가 필요하면 WAS에 요청을 위임
  • WAS는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로직 처리 전담
  •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
    • 정적 리소스가 많이 사용되면 Web Server 증설
    • 애플리케이션 리소스가 많이 사용되면 WAS 증설
  • 정적 리소스만 제공하는 Web Server는 장애 발생 가능성이 낮음
  • 애플리케이션 로직이 동작하는 WAS는 장애 발생 가능성이 높음
  • WAS, DB 장애시 Web Server가 오류 화면 제공 가능


서버에서 처리해야 하는 업무
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직접 구현

  • 서버 TCP/IP 연결 대기, 소켓 연결
  •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해서 읽기
  • POST 방식인지, /save URL 인지 판별
  • Content-Type 확인
  • HTTP 메세지 바디 내용 파싱
    • username, age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게 파싱
  • 저장 프로세스 실행
  • 비즈니스 로직 실행
    •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요청
  • HTTP 응답 메세지 생성 시작
    • HTTP 시작 라인 생성
    • Header 생성
    • 메세지 바디에 HTML 생성해서 입력
  • TCP/IP에 응답 전달, 소켓 종료

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를 사용하면 위의 직접 구현해야되는 것들을 자동화 해줌

서블릿

특징

  • urlPatterns(/hello)의 URL이 호출되면 서블릿 코드가 실행
  •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HttpServletRequest
  •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HttpServletResponse
  • 개발자는 HTTP 스펙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


HTTP 요청, 응답 흐름

  • HTTP 요청시
    • WAS는 Request, Response 객체를 새로 만들어서 서블릿 객체 호출
    • 개발자는 Request 객체에서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꺼내서 사용
    • 개발자는 Response 객체에서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
    • WAS는 Response 객체에 담겨있는 내용으로 HTTP 응답 정보를 생성


서블릿 컨테이너

  • 톰캣처럼 서블릿을 지원하는 WAS를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함
  •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 객체를 생성, 초기화, 호출, 종료하는 생명 주기 관리
  • 서블릿 객체는 싱글톤으로 관리
    •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계속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비효율
    • 최초 로딩 시점에 서블릿 객체를 미리 만들어두고 재활용
    • 모든 고객 요청은 동일한 서블릿 객체 인스턴스에 접근
    • 공유 변수 사용 주의
    • 서블릿 컨테이너 종료 시 함께 종료
  • JSP도 서블릿으로 변환되어서 사용
  • 동시 요청을 위한 멀티 쓰레드 처리 지원

동시 요청 - 멀티 쓰레드

쓰레드

  •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쓰레드
  • 자바 메인 메서드를 처음 실행하면 main이라는 이름의 쓰레드가 실행
  • 쓰레드가 없다면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이 불가능
  • 쓰레드는 한번에 하나의 코드 라인만 수행
  • 동시 처리가 필요하면 쓰레드를 추가로 생성
  • 단일 요청은 하나의 쓰레드를 사용


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

  • 장점
    • 동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.
    • 리소스(CPU, 메모리)가 허용할 때 까지 처리 가능
    • 하나의 쓰레드가 지연되어도, 나머지 쓰레드는 정상 동작한다.
  • 단점
    • 쓰레드는 생성 비용은 매우 비싸다.
      •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쓰레드를 생성하면, 응답 속도가 늦어진다.
    • 쓰레드는 컨텍스트 스위칭 비용이 발생한다.
    • 쓰레드 생성에 제한이 없다.
      • 고객 요청이 너무 많이 오면, 리소스의 임계점을 넘어서 서버가 죽을 수 있다.


쓰레드 풀 - 요청 마다 쓰레드 생성의 단점 보완

  • 특징
    • 필요한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 보관하고 관리한다.
    • 쓰레드 풀에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를 관리한다. 톰캣은 최대 200개 기본 설정(변경 가능)
  • 사용
    • 쓰레드가 필요하면, 이미 생성되어 있는 쓰레드를 쓰레드 풀에서 꺼내서 사용한다.
    • 사용을 종료하면 쓰레드 풀에 해당 쓰레드를 반납한다.
    • 최대 쓰레드가 모두 사용중이어서 쓰레드 풀에 쓰레드가 없으면?
      • 기다리는 요청은 거절하거나 특정 숫자만큼만 대기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.
  • 장점
    • 쓰레드가 미리 생성되어 있으므로, 쓰레드를 생성하고 종료하는 비용(리소스 비용)이 절약되고, 응답 시간이 빠르다.
    • 생성 가능한 쓰레드의 최대치가 있으므로 너무 많은 요청이 들어와도 기존 요청은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.
  • 실무
    • WAS의 주요 튜닝 포인트는 최대 쓰레드(max thread) 수 이다.
    • 이 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?
      • 동시 요청이 많으면, 서버 리소스는 여유롭지만, 클라이언트는 금방 응답 지연
    • 이 값을 너무 높게 설정하면 ?
      • 동시 요청이 많으면, 리소스 임계점 초과로 서버 다운
    • 장애 발생시?
      • 클라우드면 일단 서버부터 늘리고, 이후 튜닝
      • 클라우드가 아니면 열심히 튜닝
  • 쓰레드 풀의 적정 숫자
    •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복잡도, CPU, 메모리, IO 리소스 상황에 따라 모두 다름
    • 성능 테스트
      • 최대한 실제 서비스와 유사하게 성능 테스트 시도
      • 성능 테스트 툴: 아파치 ab, 제이미터, nGrinder


WAS의 멀티 쓰레드 지원

  • 멀티 쓰레드에 대한 부분은 WAS가 처리
  • 개발자가 멀티 쓰레드 관련 코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됨
    • 마치 싱글 쓰레드 프로그래밍을 하듯이…
  • 멀티 쓰레드 환경이므로 싱글톤 객체(서블릿, 스프링 빈 등)는 주의해서 사용

Leave a comment